USDC, USDT 뜻,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이란?

USDC, USDT 뜻,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


USDT, USDC 같은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미국에서 비트코인의 현물 EFT 승인이 난 이후로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날이 갈수록 증가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업비트나 빗썸 거래소를 통한 투자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데요.


국내 거래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스테이블코인(USDT, USDC) 보다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같은 주요 코인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주로 원화로 구매하는 것에 익숙하죠.

하지만 해외 거래소를 이용해야 할 경우에는 전송된 코인을 스테이블 코인으로 전환 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스테이블 코인(USDT, USDC) 뜻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USDT 뜻

USDT는 USD + T (테더) 라고 이해 하면 편합니다.

USDT를 처음 만든 회사는 Tether Limited인데요.

USD(달러)에 발행 회사인 Tether Limited의 첫 글자 T를 결합 해 USDT가 된 것이죠.

미국 달러(USD)와 1:1 비율로 연동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1 USDT의 가치는 항상 1 USD와 동일하도록 유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요.


테더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쓰입니다.

이 회사는 2014년에 설립되었으며, 스테이블코인 개념을 상용화한 최초의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습니다.


USDC는?

USDC는 USDT와 마찬가지로 항상 1 USD와 동일하도록 유지하려는 목적을 가지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USDC는 2018년, 암호화폐 회사 CircleCoinbase가 설립한 Centre Consortium에 의해 만들어졌는데요.

두 회사는 미국의 주요 금융 및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미국 정부가 직접 발행하거나 후원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아니지만 미국 규제 프레임워크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

USDT가 규제 준수 및 투명성 측면에서 약점을 보이면서, USDC는 미국 내 규제 친화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 잡고 있죠.


USDT와 USDC 비교

특징USDT (Tether)USDC (USD Coin)
발행사Tether LimitedCircle & Coinbase (Centre Consortium)
출시 연도2014년2018년
가격 안정화 방식미국 달러 1:1 연동미국 달러 1:1 연동
주요 블록체인Ethereum(ERC-20), Tron(TRC-20), Bitcoin(Omni Layer), SolanaEthereum(ERC-20), Solana, Algorand
투명성감사 부족, 투명성 논란 존재정기적 감사, 높은 투명성
규제 준수규제 준수 논란미국 규제 준수
시가총액 (2024년 12월 기준)약 200조 원약 58조 원
주요 사용처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규제 준수 및 신뢰를 중시하는 사용자 및 기관

USDC는 미국 정부와 암묵적으로 협력하여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법적 신뢰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내 암호화폐 시장의 표준을 설정하고, USDT와 같은 비규제 스테이블코인을 대체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을 먼저 선점한 USDT의 시가총액에 비하면 아직까지 점유율이 높진 않은데요.

USDC의 최초 발행일을 감안하면 점유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등에서는 USDT(테더)를 지원하고 USDC를 직접적으로 지원하지 않고 있어요.

현재 USDC는 해외 거래소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이란?

스테이블 코인은 단순히 보유할 수도 있지만 예치를 했을 때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에요.

‘DeFi 플랫폼’이나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제공되는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DeFi(탈중앙화 금융) 플랫폼

스테이블코인을 스테이킹하여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DeFi 플랫폼이 있습니다.

  • 대표적인 DeFi 프로토콜:
    • Aave: 유동성을 공급하고, USDT/USDC를 스테이킹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음.
    • Compound: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면 이자를 지급.
    • Curve Finance: 스테이블코인 전용 풀을 통해 높은 이자를 제공.
  • 작동 방식:
    1. DeFi 지갑(예: MetaMask)에 스테이블코인 예치.
    2. DeFi 플랫폼에서 유동성 풀에 자산 공급.
    3. 플랫폼이 제공하는 이자율(연이율, APY)에 따라 수익 획득.


2. 중앙화 거래소(CEX) 스테이킹

바이낸스(Binance), 크라켄(Kraken), 후오비(Huobi) 등 여러 거래소에서도 USDT/USDC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장점: DeFi보다 사용법이 간단하고 보안 리스크가 적음.
  • 작동 방식:
    1. 거래소 계정에 스테이블코인을 입금.
    2. “Earn” 또는 “Staking” 메뉴에서 적합한 상품 선택.
    3. 고정 기간(예: 7일, 30일) 또는 유연 스테이킹(자유로운 입출금) 방식으로 스테이킹.


3. 수익률과 리스크

일반적으로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 이자율은 은행 금리보다 높습니다.

중앙화 거래소: 보통 연이율 1%~10% 수준.

DeFi 플랫폼: 리스크가 더 높지만, 경우에 따라 연이율 5%~20%까지도 가능.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적은 편이지만 스테이킹 과정에서는 약간의 리스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가 해킹되거나 파산할 경우, DeFi 플랫폼에서 스마트 계약의 결함이 있을 경우 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USDC, USDT 뜻과 차이점,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킹까지 알아보았습니다.

현명한 투자 결정 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사토시 나카모토 정체, 비트코인을 왜 만들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