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택시, 개인택시 부당요금 신고 1분만에 하는 방법

카카오택시 개인택시 부당요금 신고


택시기사가 길을 잘 몰라서 돌아가는 바람에 요금이 과도하게 청구 되셨나요?

택시를 이용하다 보면 부당한 요금을 청구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기사님의 잘못이니 요금이 더 나왔으니 조정을 해 달라고 요청을 하면 오히려 화를 내는 기사도 있죠.


택시를 타고 내리는 곳은 집이나 직장 근처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복을 당할까 염려되어 함부로 신고를 하기도 겁이 납니다.

택시 부당요금 문제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지, 신고는 어디에서 할 수 있는 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택시 부당요금 주로 겪는 상황

택시 부당요금은 택시 기사가 실제 운행 거리·시간에 비해 과도하게 청구하는 모든 경우를 말합니다.

부당요금이 발생하는 상황은 크게 3가지로 정리 할 수 있습니다.

1. 길 실수로 잘못 갔을 때

초행길이라는 핑계로 돌아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르는 길임에도 네비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기사님 혼자서 지역 탐방을 하기도 하죠.

요금을 더 받기 위해 길을 모르는 척 하며 일부러 돌아가는 질 나쁜 택시기사도 있다고 하네요.


2. 심야 할증 시간을 노리는 경우

운행 중에 할증 시간이 되면 미터기 요금이 할증 금액으로 증가하잖아요.

할증 시간이 되기 직전까지 최대한 천천히 가다가 할증 시간이 되자마자 속도를 내는 택시기사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비용이 나오죠.

지역 별 택시 심야 할증시간과 요금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해보세요.

▶ 택시 할증시간, 야간 심야 요금 한 눈에 보기 (25년 2월)


3. 미터기를 미리 작동시켜 놓는 경우

요즘 승객들은 카카오택시, 우버택시 등 앱으로 택시를 호출합니다.

승객이 타기 전 대기하는 시간부터 미터기를 미리 켜 두는 택시기사도 있어요.

승차 후에는 반드시 미터기를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면 좋습니다.


택시 부당요금 신고 전에 할 일

1. 영수증(결제 내역) 꼭 챙기기

택시 영수증에는 회사명, 차량번호, 택시 번호, 운행 기록 등이 모두 남겨져있습니다.

만약 영수증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카드 결제 내역(카드 영수증, 앱 결제 이력)이라도 확보해 두세요.

증빙자료가 있어야 이후 알려드릴 부당요금 신고 절차가 수월해집니다.


2. 택시기사와 현장 조율하기

“길을 이상하게 돌아갔다”, “기사님이 네비게이션을 안보고 우회를 해서 왔다” 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요금 조정을 요청 해 보세요.

기사님이 실수를 인정하고 즉시 요금을 조정 해 주기도 합니다.


3. 택시기사와의 대화 녹음하기

요금 조율 요청에 택시기사가 화를 내거나 대화가 통하지 않아 시비가 붙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 해 당시 대화를 스마트폰으로 녹음을 해 두면 좋습니다.


택시 부당요금 신고 방법

택시 부당요금을 신고하는 루트는 (1) 택시회사 → (2) 시·도 콜센터 → (3) 한국소비자원 순으로 진행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계별로 살펴볼게요.

1. 택시 회사 (개인택시조합) 신고

법인택시라면 영수증에 표기된 회사 이름연락처가 있을 겁니다.

회사에 전화해서 부당요금에 대한 항의를 하면, 회사 차원에서 기사에게 경고하고 요금을 환불·조정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택시인 경우에는 지역 택시조합(예: ○○광역시 개인택시조합)에 연락 해 보세요.


2. 시·도 콜센터 신고

서울: 120 다산콜센터
부산: 120 부산 민원안내 콜센터(또는 051-120)
인천·대구·광주 등 기타 지역: 각 지자체별 ‘120 콜센터’ 또는 교통행정과

각 시·도 콜센터에 전화를 해서 “택시 부당요금 신고를 하고 싶다” 하면 처리를 도와 줄겁니다.

이 때, 영수증, 결제 이력, 날짜·시간 등의 정보를 말씀 해 주시면 됩니다.


3. 한국 소비자원(소비자상담센터 1372) 신고

만약 택시회사나 지자체 신고로도 해결이 원활하지 않았다면 한국소비자원에 분쟁 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국번 없이 1372)나 소비자원 홈페이지를 통해서 상담·조정 신청이 가능해요.


부당요금 신고 후 처리

부당요금에 대한 부분 환불 조치는 택시회사를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택시 부당요금 신고 처리되면 해당 택시는 10일 운행 정지와 일정 금액의 과태료 등 다양한 징계를 받게 됩니다.

만약 부당요금 신고가 누적된 택시기사의 경우에는 택시 면허 취소 같은 처분도 받을 수 있어요.


부당요금을 내고도 “그냥 넘어가자, 귀찮아…” 하며 포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부당요금은 신고 절차가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실제로 환불 및 시정 조치를 받는 경우도 많으니 꼭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택시 부당요금 상황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